프로그램

2022년도 봄 학술대회 프로그램

A1. 표준진료지침과 질 지표 관리(CP/CI) * 기획의도 : 최근 각종 인증과 평가에 의료의 질지표 관리 기준이 강화되고 신포괄수가제 도입 의료기관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.

↔ 좌/우로 스크롤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교시 세부주제 강사정보
1
표준진료지침 개념과 실제
송명희 /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기획 및 정책이사
2
CP 운영 사례
최원미 / 미즈메디병원 QI실 과장
3
표준진료지침 CP 운영 사례
이 찬 / 충남대학교병원 의료혁신팀 CP 전담자
4
정부의 의료질평가 정책
김효선 / 대한간호협회 지역환자안전센터 센터장
5
의료기관의 질지표 관리 사례 - 의료기관인증지표 중심
송명아 / 인천성모병원 PI팀 팀장
6
의료기관의 질지표 관리 사례 - 의료기관의 우선순위 지표관리
강선영 / 삼성서울병원 QI실 QPS파트장


A2. 리더십교육 Ⅰ : 안전리더십 향상 * 기획의도 : 최근 강화되고 있는 안전 관련 법, 제도 및 정책 경향을 반영한 시스템 안전 주요 개념, 타 산업 분야에서의 안전관리 방안에 대해 벤치마킹함으로써 병원 경영진의 안전리더십 역량 향상과 환자안전 문화 증진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함.

↔ 좌/우로 스크롤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교시 세부주제 강사정보
1
새로운 시스템 안전과 리더십
윤완철 / 카이스트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명예교수,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한국시스템안전학회 회장
2
의료기관 CEO의 선제적 안전경영
고재철 / 법무법인 화우 고문, 한국시스템안전학회 부회장
3
고신뢰조직의 SMS 도입과 활용
권보헌 / 대한항공 수석 기장, 한국시스템안전학회 부회장
4
레질리언스 헬스케어 소개
이상일 /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교수
5
안전리더십 활동 사례
류호걸 / 서울대학교병원 중환자의학과 교수
6
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및 환자참여
옥민수 /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교수


B1. 질 향상 활동 입문과정 * 기획의도 : 질 향상 활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와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여 질 향상업무를 시작하는 담당자의 어려움과 고민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

↔ 좌/우로 스크롤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교시 세부주제 강사정보
1
질향상과 환자안전 활동 개요
최윤경 /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
2
질향상전담자의 업무
송명희 /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기획정책이사
3
회의진행 및 문서작성방법
김윤숙 / 건국대학교병원 적정진료실 파트장
4
신규 QI전담자 입문과정 -중소병원 질향상 활동사례-
김혜경 / 대전우리병원 QPS실 차장
5
환자안전활동사례 -중소병원-
최세라 / 부천세종병원 QI 팀장
6
환자 및 직원대상 교육 사례 -교육기안작성부터 실제 교육까지 -
배슬기 / 서울아산병원 PI팀 대리


B2. 리더십 교육 Ⅱ: 4주기 의료기관인증과 리더십 * 기획의도 : 의료기관의 리더십과 구성원들이 의료기관인증제도 및 4주기 의료기관인증기준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, 의료기관 내 상시 지속적인 인증기준 적용의 유지 및 인증제도의 정착에 필요한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전반적인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의 제고 뿐만 아니라 리더십과 의료진들의 이해와 참여 증진을 위함

↔ 좌/우로 스크롤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교시 세부주제 강사정보
1
의료기관인증제도의 개요
황인선 / 의료기관평가인증원 교육연구본부 본부장
2
4주기 의료기관인증기준 소개 -급성기병원 인증기준-
신경아 / 의료기관평가인증원 교육연구부 부장
3
선진국의 의료기관인증와 우리나라 의료기관 인증
이순교 / 서울아산병원 AGS평가실 팀장
4
의료기관인증의 유지관리와 리더십의 역할
신현수 / 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
5
진료권한의 개념과 운영의 실제
신성재 / 아주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소화기내과 교수
6
의료기관인증과 의사의 참여
장종범 / 분당서울대병원 경영혁신실장 정형외과 교수